2024년 설 연휴는 2월 9일부터 12일까지다. 설 연휴에 주말이 있어 월요일이 대체 공휴일이기 때문에 하루가 보너스(?) 마냥 붙어 며느리에게는 하루 푹 쉴 수있는 기회... 인 줄 알았는데 설 연휴 기간 동안 여행가기 딱 좋은 혜택들이 많아서 여행 가야겠다.
1. 이제 누구나 아는 혜택 고속도로 무료
2024년 설 연휴가 시작되는 9일 새벽 0시부터 13일 새벽 0시까지 고속도로 위에 자동차 바퀴가 올라갔다 하면 이용 요금이 무료다. 경관이 좋은 가까운 가덕도 휴게소에 잠시 들러 따뜻한 차 한 잔 해도 좋겠다.
2. KTX와 SRT를 타고 '역귀성'하면 최대 30% 할인

SRT 설명절 승차권 예매하기
서울에서 근무를 할 때 부산 집에 내려가는 일은 전쟁. 명절에 집에 가는 기차/버스 예매하는 게 일이었다. 그 때 상대적으로 일정에 여유가 있는(?) 부모님이 서울에 한 번 올라오시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20년이 지난 지금 이제 역귀성 할인이 나오다니.
KTX 평소 할인 받기

KTX는 평소에도 할인 승차권이 있다.

1) 청소년 드림
만24세이하의 청소년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한 상품
청소년인 고객은 "www.letskorail.com >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 > 나의정보수정" 에서 청소년 회원 동의 후 예약을 진행한다.
2) 힘내라 청춘
만25세부터 만33세 이하의 회원이 이용할 수 있는 상품. 청소년 끝나면 이 상품으로 갈아타기
"www.letskorail.com >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 > 나의정보수정"에서 이용 방법에 대하여 동의한 후 이용할 수 있다.
3) 맘편한 KTX
임신부인 회원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한 상품.
온라인으로 맘편한 임신서비스를 통해 등록을 해야 한다. 또는 증빙자료(신분증, 임신확인서 또는 진단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역을 방문하셔서 상품 구입 인증을 받아야 한다.
"www.letskorail.com >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영업일 기준 약 2~3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4) 다자녀행복
'만25세미만 자녀 2명을 둔 회원'을 위한 상품
최초 1회 등록하여야 하고
온라인 (https://www.gov.kr/portal/onestopSvc/happyBirth 또는
코레일 홈페이지 https://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discount/discount01.do
접속 후 다자녀 행복 선택) 자동인증 받거나 오프라인(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작성)으로 등록을 완료한 후 상품을 이용 할 수 있다.
5) 기차누리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는 코레일멥버십 회원에 한하여 이용이 가능한 상품
온라인으로 기차누리 할인을 등록 받아야 한다. "www.letskorail.com >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관리" 에서 등록하면 된다. 인터넷/컴퓨터 사용이 어렵다면 증빙자료(기초생활 수급자증명서 및 신분증)를 지참하시고 가까운 역을 방문하셔서 '상품구입인증'을 받아야 한다.
6) KTX5000특가/둘이서 반값/셋이서 반값
이 상품은 특정 구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상품이다.
웬만한 여행 프로그램보다 낫다
KTX 매거진
KTX를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는 낭만도 있지만 매월 발행되어 비치되는 "KTX매거진"
주로 출장으로 KTX나 SRT를 이용하게 되는데, KTX를 타면 매거진을 꼭 보게 된다. 매월 추천해주는 여행지, 그 속에서 펼쳐지는 소소한 이야기들이 좋아서 '다음에 여기 가봐야지'하고 메모를 하기도 한다.
종종 여행이 가고 싶어지면 들르는 KTX 매거진 사이트
이제는 매년 루틴이 된 영주여행도 KTX 매거진이 시작이었다.
굳이 KTX를 이용하지 않아도 충분히 유익하고 제대로 된 정보들이 많으니 '어디론가 가고 싶어!' 생각이 든다면 꼭 한 번 참고해보았으면 한다.
'일상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교육청 통합 포털 예약 시스템 소개와 활용 (0) | 2025.01.21 |
---|---|
맞벌이 부부의 연말 정산 절약 방법 (2) | 2025.01.21 |
부산 가족사랑카드 다자녀 혜택 카드 누가 신청할 수 있나? 쉽게 신청하고 활용하기 혜택 총 정리 (3) | 2024.01.07 |
부산시 "다자녀 교육지원포인트 사업 시행" 2자녀 연 30만원 3자녀 연 50만원 동백전으로 지원, 동백전의 또 다른 혜택 (3) | 2024.01.06 |
4인 가족 생활비 절약 2024 4인 가족 중위소득 573만원 최저 생계비는? 소비3심제도로 시작하자 (1) | 2024.01.06 |